예산은 1000의 60(관리비 포함) 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. 전세 조건도 1억 초반 안에서 가능합니다. 집은 최소 8평 이상으로 구하려고 하고, 대신 굳이 초 역세권이 아니여도 됩니다. 역까지 걸어서 15분 거리까지는 가능할 것 같습니다. 거리보다는 공간파입니다. 첫 독립이라 저만의 공간을 만드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 미대 출신이고 예술 계통 종사자여서 꾸미는 걸 좋아하기 때문에 무작정의 평수 보다는 구조나 집 디자인등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. 예를 들면 창의 디자인이나, 체리색 몰딩x ,벽지나 장판의 형태 등에 눈이 많이 가는 편입니다. 꾸몄을 때 느낌이 나올 것 같은 집을 선호하는 편입니다. 신축이나 원룸식의 오피스텔도 좋지만 좀 허름하더라도 느낌있는 집이라면 눈이 갑니다. 채광이 좋았으면 하기에 창을 좀 보는 편인 것 같습니다. 숲세권도 좋습니다. 딱히 꼭 여기서 살아야겠다 하는 지역은 정하지 않았고 10년간 주 활동반경이 주로 서울 남쪽이었어서 요번에는 서울 중부&강북 쪽으로 가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 홍대를 자주 돌아다니는 편이긴 합니다. 이사는 겨울 중으로 하려고 생각하고 있고 늦어도 2월 중에는 입주하려고 합니다. 꼭 맘에 드는 집이 나온다면 더 빨리도 입주 할 의사가 있습니다.
이전페이지로 이동예산은 1000의 60(관리비 포함) 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. 전세 조건도 1억 초반 안에서 가능합니다.
집은 최소 8평 이상으로 구하려고 하고, 대신 굳이 초 역세권이 아니여도 됩니다. 역까지 걸어서 15분 거리까지는 가능할 것 같습니다. 거리보다는 공간파입니다.
첫 독립이라 저만의 공간을 만드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 미대 출신이고 예술 계통 종사자여서 꾸미는 걸 좋아하기 때문에 무작정의 평수 보다는 구조나 집 디자인등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. 예를 들면 창의 디자인이나, 체리색 몰딩x ,벽지나 장판의 형태 등에 눈이 많이 가는 편입니다.
꾸몄을 때 느낌이 나올 것 같은 집을 선호하는 편입니다.
신축이나 원룸식의 오피스텔도 좋지만 좀 허름하더라도 느낌있는 집이라면 눈이 갑니다.
채광이 좋았으면 하기에 창을 좀 보는 편인 것 같습니다. 숲세권도 좋습니다.
딱히 꼭 여기서 살아야겠다 하는 지역은 정하지 않았고 10년간 주 활동반경이 주로 서울 남쪽이었어서 요번에는 서울 중부&강북 쪽으로 가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 홍대를 자주 돌아다니는 편이긴 합니다.
이사는 겨울 중으로 하려고 생각하고 있고 늦어도 2월 중에는 입주하려고 합니다. 꼭 맘에 드는 집이 나온다면 더 빨리도 입주 할 의사가 있습니다.
전세 1억 4,000만원
월세 1,000만원/60만원
2021/01
원룸
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구수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당인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대흥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도화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수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공덕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수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정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연남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염리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용강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중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창전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하중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, 서울특별시 마포구 현석동
주변시설 옵션채광대중교통조용한